정형외과 김기철 교수,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상 수상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 사랑이 숨쉬는 인술의 요람 - 단국대학교병원 홈페이지입니다.
홈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병원소식

정형외과 김기철 교수,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상 수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10-28 00:00 조 회 |40회 댓 글 |0건

본문

정형외과 김기철 교수,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상 수상

 

‘대퇴 경부 내고정술 후 대퇴 경부 단축의 영향과 위험인자’ 연구

 

단국대병원(병원장 김재일) 정형외과 김기철 교수가 최근 열린 제69차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대회에서 ’CiOS 학술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상은 1년간 발표된 정형외과 분야 연구 논문 중 학술적 공헌이 높은 논문을 선별해 편집위원회 심사를 통해 수여하는 상이다. 김기철 교수는 국제학술지인 CiOS(Clinics in Orthopaedic Surgery)에 게재된 논문 ‘대퇴 경부 내고정술 후 대퇴 경부 단축의 영향과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 상을 받았다.

 


 

 

고관절 골절 중 하나인 대퇴골 경부 골절은 고령 인구에서 흔히 발생하는 골절로,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로 꼽힌다. 수술은 골절 양상, 골다공증 여부, 환자의 전신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데, 대표적으로 인공 고관절 치환술과 내고정술을 시행한다. 고령 환자에게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이, 상대적으로 골다공증이 적은 젊은 환자에게는 내고정술을 시행한다. 그러나 내고정술 후에는 불유합, 부정유합, 무혈성 괴사, 대퇴 경부 단축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대퇴 경부 단축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그 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김기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퇴골 경부 골절로 내고정술을 받은 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 단순 방사선 영상검사를 비교하여 대퇴 경부 단축의 발생 여부를 확인했다. 이와 함께 성별, 나이, 분쇄 골절의 정도, 골절 각도 등 여러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분쇄 골절을 가진 환자에서 대퇴 경부 단축이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퇴 경부 단축이 5㎜ 이상일 경우 수술 후 환자의 임상 예후, 즉 통증 및 일상생활로의 복귀 등이 나쁜 것을 확인했다.

 

김기철 교수는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 대한 수술 방법을 결정할 때, 분쇄 골절의 정도와 골절 양상을 고려하고, 예후를 미리 판단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



  • 담당부서 : 홍보팀
  • 문의번호 : 041-550-7012
  • 최종수정일자 : 202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