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부서 : 홍보팀
- 문의번호 : 041-550-7012
- 최종수정일자 : 2024-06-20
관련링크
본문
정형외과 김경욱·이대희 교수팀, 대한말초신경수술학회 ‘최우수 학술상’ 수상
저용량 FK506을 이용한 냉장 및 동결 보존 신경 동종이식편의 운동신경 재생 효과 연구로 주목
정형외과 김경욱·이대희 교수팀(손수혁 전공의)이 지난 9월 6일 대구시 W병원에서 열린 ‘2025 대한말초신경수술학회(KSSPN)’에서 최우수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번에 수상한 논문은 ‘저용량 FK506을 이용한 냉장 및 동결 보존 신경 동종이식편의 운동신경 재생 효과: 전임상 연구(Efficacy of cold and cryo-preserved nerve allografts with low-dose FK506 for motor nerve regeneration: a preclinical study)’로, 운동신경 재생을 위한 신경 동종이식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한 연구다.
연구팀은 10㎜의 좌골신경 결손을 유발한 랫드 모델(실험용 쥐를 이용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냉장 및 동결 보존 신경 동종이식편의 운동신경 재생 효과를 비교하고, 저용량 FK506(0.1mg/kg/day) 병용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자가이식군’, ‘냉장 보존군’, ‘동결 보존군’, ‘냉장 보존+FK506 병용군’, ‘동결 보존+FK506 병용군’ 등 5개 실험군으로 나누어 20주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냉장 및 동결 보존 이식군 모두 자가이식군에 근접한 회복을 보였으며, 특히 FK506 투여군에서는 발목 구축 억제, 근전도 반응 개선 및 근육량 보존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했다. 또한 조직학적으로 냉장 보존군이 동결 보존군보다 수초화된 신경섬유 면적 및 조직 정렬도에서 우수한 회복을 보였다는 점도 밝혀졌다. 연구팀은 “냉장 및 동결 보존 신경 동종이식은 자가이식의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저용량 FK506 병용은 운동신경 재생을 촉진하고 근육 위축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주 연구자인 김경욱 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혁신형 미래의료연구센터’ DYNAMIC(DKUH Young and Novel Academic Medical Innovation Center) 소속 의사과학자로, 현재 혁신형 미래의료기술인 조직재생, 세포치료제, 광자극 AI 기술을 활용하여 재생융합치료를 통한 외상질환 극복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한말초신경수술학회의 ‘최우수 학술상’은 매년 가장 우수한 논문 1편에 수여되는 상으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Orthopaedic Surgery and Research’ 2024년 12월호에 게재됐다.